반응형
학생이 질문하기 어려워하면 교사가 시범을 보이거나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여 낯선 활동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어야 한다. 질문 만들기 연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단계 - 질문의 유형을 교사가 학생들에게 설명한다.
- 2단계 - 연습을 위해 연습용 읽기 자료와 그 자료로부터 제기된 질문을 함께 일고 학생들이 그 질문들을 분류하고 각각에 답하게 한다.
- 3단계 - 학생들은 스스로 자신이 읽은 글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유형의 질문들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답을 찾아본다.
다양한 질문 생성 전략 가운데 라파엘의 '질문-대답 관계' 모형을 소개한다.
- 1단계 : '바로 거기에' 질문이다. 텍스트의 내용을 확인하는 질문으로 답이 텍스트의 문장 안에 담겨 있어서 글의구조를 따지지 않더라도 답할 수 있는 질문을 말하다. 예)낱말과 구의 의미를 묻는 질문, 글의 핵심어를 묻는 질문 등
- 2단계 : '생각하고 탐색하기' 질문이다. 텍스트의 여러 부분들을 결합해야 답할 수 있다. 저자가 말하려는 주장이나 근거를 묻는 질문이다. 예) 이 글의 주제는무엇인가? 이 글은 무엇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가? 등
- 3단계 : '저자와 나 사이'의 질문이다. 나의 선행 지식이나 경험, 텍스트 안의 근거를 함께 활용해야 답할 수 있는 질문이다. 예)저자가 주인공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저자는 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졌을까? 등
- 4단계 : '나 자신에게' 질문이다. 주제에 대한 자신의 최종 생각이나 주장을 확인하는 질문이다. 예) 내가 주인공이라면 어떻게 할까? 문제에 대한 나의 생각은? 문제 해결을 위한 나의 생각은? 등
질문 중심 하브루타 수업은 '개별 활동-짝 활동-모둠 활동-발표 및 쉬우르'의 순서로 진행한다.
- 1단계 개별활동 : 개인별로 질문 만들기 활동을 한다. 가능한 여러 개의 질문을 만들게 한다.
- 2단계 짝 활동 : 개별 활동을 통해 만든 질문을 짝에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대방이 만든 질문 중 가장 좋은 질문 한개를 선택해 서로의 생각을 이야기 한다. 그리고 각각 선택한 질문 중 한 개의 좋은 질문을 선택한다.
- 3단계 모둠 활동 : 각각의 짝 활동을 통해 선정한 질문들 중 좋은 질문을 모둠별로 한 개씩 선택한다. 그 질문으로 모둠 토론을 한다.
- 4단계 발표 및 쉬우르 : 모둠별로 가장 좋은 질문을 판서하고 발표한다. 모둠발표가 끝나면 교사가 정리한다.
<책 이성일 저, 얘들아, 하브루타로 수업하자!
반응형
'하브루타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 하브루타 수업 디자인 (1) | 2025.01.08 |
---|---|
친구 가르치기 하브루타 (3) | 2025.01.07 |
하브루타 수업 (0) | 2025.01.07 |
학생 참여 수업의 4요소 (0) | 2025.01.07 |
책 - 얘들아, 하브루타로 수업하자! (1)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