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브루타에 대하여

질문 만들기 하브루타

by 권씨아제 2025. 1. 7.
반응형

학생이 질문하기 어려워하면 교사가 시범을 보이거나 연습할 기회를 제공하여 낯선 활동에 대한 부담을 줄여주어야 한다. 질문 만들기 연습 과정은 다음과 같다.

  • 1단계 - 질문의 유형을 교사가 학생들에게 설명한다.
  • 2단계 -  연습을 위해 연습용 읽기 자료와 그 자료로부터 제기된 질문을 함께 일고 학생들이 그 질문들을 분류하고 각각에 답하게 한다.
  • 3단계 - 학생들은 스스로 자신이 읽은 글을 가지고 서로 다른 유형의 질문들을 제기하고, 그에 대한 답을 찾아본다.

다양한 질문 생성 전략 가운데 라파엘의 '질문-대답 관계' 모형을 소개한다.

  • 1단계 : '바로 거기에' 질문이다. 텍스트의 내용을 확인하는 질문으로 답이 텍스트의 문장 안에 담겨 있어서 글의구조를 따지지 않더라도 답할 수 있는 질문을 말하다. 예)낱말과 구의 의미를 묻는 질문, 글의 핵심어를 묻는 질문 등
  • 2단계 : '생각하고 탐색하기' 질문이다. 텍스트의 여러 부분들을 결합해야 답할 수 있다. 저자가 말하려는 주장이나 근거를 묻는 질문이다. 예) 이 글의 주제는무엇인가? 이 글은 무엇에 관해 설명하고 있는가? 등
  • 3단계 : '저자와 나 사이'의 질문이다. 나의 선행 지식이나 경험, 텍스트 안의 근거를 함께 활용해야 답할 수 있는 질문이다. 예)저자가 주인공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인가? 저자는 왜 이 문제에 관심을 가졌을까? 등
  • 4단계 : '나 자신에게' 질문이다. 주제에 대한 자신의 최종 생각이나 주장을 확인하는 질문이다. 예) 내가 주인공이라면 어떻게 할까? 문제에 대한 나의 생각은? 문제 해결을 위한 나의 생각은? 등

질문 중심 하브루타 수업은 '개별 활동-짝 활동-모둠 활동-발표 및 쉬우르'의 순서로 진행한다.

  • 1단계 개별활동 : 개인별로 질문 만들기 활동을 한다. 가능한 여러 개의 질문을 만들게 한다.
  • 2단계 짝 활동 : 개별 활동을 통해 만든 질문을 짝에게 설명한다. 그리고 상대방이 만든 질문 중 가장 좋은 질문 한개를 선택해 서로의 생각을 이야기 한다. 그리고 각각 선택한 질문 중 한 개의 좋은 질문을 선택한다.
  • 3단계 모둠 활동 : 각각의 짝 활동을 통해 선정한 질문들 중 좋은 질문을 모둠별로 한 개씩 선택한다. 그 질문으로 모둠 토론을 한다.
  • 4단계 발표 및 쉬우르 : 모둠별로 가장 좋은 질문을 판서하고 발표한다. 모둠발표가 끝나면 교사가 정리한다. 

<책 이성일 저,  얘들아, 하브루타로 수업하자! 

반응형

'하브루타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책 - 하브루타 수업 디자인  (1) 2025.01.08
친구 가르치기 하브루타  (3) 2025.01.07
하브루타 수업  (0) 2025.01.07
학생 참여 수업의 4요소  (0) 2025.01.07
책 - 얘들아, 하브루타로 수업하자!  (1)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