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하브루타 수업4 하브루타에 접근하기 실천이 답이다.아무리 좋은 생각이라도 생각으로 끝난다면 결과물이 있을 수 없다. 생각이 행동을 바꾸고, 행동이 삶을 바꾼다고 했다. 생각하고 도전하는 힘! 그것이 진짜 힘이다. 실천을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교실에서 교사의 권위적인 분위기를 깨뜨려야 한다. '무엇인가 배우는 것'보다 '각자 가지고 있는 지식을 나누는 것'이라는 분위기를 형성해 줘야 한다.짝은 어떻게 만들어야 하나요?짝은 누구나 상관이 없다. 성향이 다른 친구와 만나도 신선하고 흥미롭고, 자신이 가진 생각의 틀에서 벗어나는 즐거움도 있다. 수준 차이가 나는 친구와 만나도 질문의 수준을 따지기보다 서로의 질문을 통해 사고의 폭을 넓혀 주어야 한다. 사람은 누구한테서나 배워야 한다. 짝에게서도 비슷한 친구와 만나면 좋겠지만, 자신보다 뛰어난 친구.. 2025. 1. 8. 하브루타로 수업 하기 하브루타 수업 과정의 5단계(전성수교수)도입(동기) 하브루타 - 여러 가지 재미있는 놀이나 게임, 이야기 등을 통해 뇌에 자극을 주어 뇌를 깨우는 과정내용(사실) 하브루타 - 텍스트를 읽고 사실적 내용을 이해하는 과정심화(상상) 하브루타 - 상상을 자극하는 질문을 통해 학생들이 마음껏 상상하여 하브루타를 하는 과정적용(실천) 하브루타 - 본문의 내용과 관련된 것들을 직접 실생활에서 실천하고 적용하는 과정메타(종합) 하브루타 - 지금까지 나눈 것을 바탕으로 종합하고 정리하는 과정이며, 선생님이 되어 정리해 가르치거나 사고를 확장하는 과정이다.하브루타 수업의 3가지 과정1. 해석하는 과정 - 학습자와 본문 사이의 상호작용에 집중하는 과정본문 반복해서 읽기본문 소리 내어 읽기본문 풀어서 설명하기본문의 구조 .. 2025. 1. 8. 하브루타의 필요성 부모도 교사도 일방적인 지시나 억압에 가까운 말을 한다. 이것은 진정한 대화라고 볼 수가 없다.서울대 국어교육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수업 중 질문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 관심이나 흥미가 부족(23.5%), 무엇을 질문할지 모른다(24%), 사람들 앞에서 말하고 싶지 않아서(10.7%), 질문을 해서 창피를 당할까 봐(10.7%)의 결과가 나왔다.학생들은 강의식 수업보다 자신들이 말하고 듣는 수업에 더 집중한다. 질문은 앎에 대한 호기심의 표현이며 정확히 더 많이 알고 싶다는 열정의 표현이다.도로시 리즈는 질문의 7가지 힘을 다음과 같이 제시했다.첫 번째 힘, 질문을 하면 답이 나온다.두 번째 힘, 질문은 생각을 자극한다.세 번째 힘, 질문하면 정보를 얻는다.네 번째 힘, 질문하면 통제가 된다.다섯 번째 힘.. 2025. 1. 8. 하브루타 수업 1. 하브루타란?하브루타는 유대인의 학습법이다. 하브루타는 둘이서 같은 장소에서, 같은 텍스트를 두고, 질문하고 논쟁하는 학습법이다. 친구에게 배우면서, 친구를 가르치는 학습법이다. 유대인 격언 중에 '말로 표현할 수 없으면 모르는 것이다.'라는 말이 있다. 생각을 말로 표현하고, 친구에게 설명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사고가 명확해지고, 배운 것을 기억하는 것이다.2. 하브루타 수업의 장점교사 입장에서 수업 준비를 위한 별도의 추가 부담이 없다. 교과서를 읽게 하고, 질문을 만들게 하고, 짝과 토론하게 하면 된다. 학생 입장에서 수업 시간 외 별도의 과제가 없다. 수업시간에 교과서를 읽으면서 질문을 만들고, 토론하면 된다.수업 시간에 교과서 활용도가 높다. 수업 시간에 학생들은 교과서를 읽고, 질문을 만들고.. 2025. 1.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