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퇴 관련 이야기

소득이 제일 낮은 1분위 월 소득 118만2천 원, 가구주 연령은 61.7세로 나타나

by 권씨아제 2024. 11. 29.
반응형

* 2024년 11월 28일에 발표한 통계청의 보도자료 중 [2024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실었습니다.

*2024년 3/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5만5천원으로 나왔습니다. 가구당이므로 가구원이 2명이라고 하면 절반이겠지요?

*근로소득은 아무래도 최저임금이 올라 작년 대비 3.3% 정도 오른 것 같고, 이전소득이 7.7%로 많이 올랐네요. 사업소득은 0.3% 오른 것으로 나왔습니다.

*소득이 제일 낮은 20%인 1분위를 보니 월 소득이 118만2천원이고  가구주 연령은 61.7세로 노년층으로 나타나는군요.

*2분위는 282만3천원 3분위는 436만2천원 4분위는 636만원 마지막 5분위는 1,154만3천원으로 나왔습니다. 1분위와 5분위는 약 10배 차이가 나는군요.

*여러분의 소득 분위는 어떻게 되시나요?

**참고: 소득 5분위란 - 국민의 소득을 5구간으로 나누어서 분류한 계층별 분류. 5분위는 최상위 20%, 4분위는 소득 상위 60~80%, 3분위는소득 상위 40~60%, 1분위는 하위 20%를 나타냅니다.

1. 소득 동향

20243/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55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4% 증가(실질소득 2.3% 증가)

경상소득은 5154천원으로 3.7% 증가

- 근로소득은 3329천원(3.3%), 사업소득은 987천원(0.3%), 이전소득은 784천원(7.7%)으로 모두 증가

* 공적이전소득 6.0%, 사적이전소득 11.3% 증가

비경상소득*102천원으로 63.9% 증가

* 경조소득, 보험금 수령액 등 비경상적 수입

2. 소득 5분위별 가계 소득과 지출

20243/4분기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82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5.4% 증가,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543천원으로 6.5% 증가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962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6.1% 증가

- 평균소비성향은 134.7%로 전년동분기대비 1.6%p 하락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8981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8.0% 증가

- 평균소비성향은 56.2%로 전년동분기대비 3.0%p 하락

<5> 소득 5분위별 가계소득(2024. 3/4)  (단위: 천원, %, 전년동분기대비)
  1분위 2분위 3분위 4분위 5분위
  증감()   증감()   증감()   증감()   증감()
가 구 원 수 () 1.37 - 1.64 - 2.22 - 2.80 - 3.20 -
가 구 주 연 령 () 61.7 - 53.1 - 50.6 - 49.3 - 50.5 -
소 득 1,182 5.4 2,823 3.5 4,362 3.4 6,360 1.8 11,543 6.5

 

20243/4분기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296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8% 증가,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5045천원으로 2.5% 증가

1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22.6%), 주거·수도·광열(18.1%), 음식·숙박(13.4%) 순이고,

5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은 음식숙박(16.2%), 식료품·비주류음료(12.4%), 교육(11.9%) 순임

소득 5분위별 소비지출 구성비(2024. 3/4)

3. 소비지출 동향

 2024 3/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 7천원으로 전년 동분기대비 3.5% 증가(실질소비지출 1.4% 증가)

 주거·수도·광열(12.6%), 음식숙박(5.6%), 기타상품·서비스(9.0%), 보건(7.9%), 오락문화(6.9%) 등에서 지출 증가

 교통(-4.3%), 통신(-3.6%), 교육(-1.3%), 의류신발(-1.6%) 등에서 지출 감소

< 소비지출 12대 비목별 동향 >

1) 식료품비주류음료()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43 4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0.6% 증가

육류(-4.5%), 조미식품(-9.8%), 신선수산동물(-8.3%) 등에서 지출은 감소했으나, 유제품 및 알(6.4%), 쥬스 및 기타음료(10.6%), 기타식품(5.8%) 등에서 지출 증가

2) 주류담배()

 주류담배 지출은 4만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2.9% 감소

 주류(-2.6%), 담배(-3.2%) 지출 모두 감소

3) 의류신발()

 의류신발 지출은 11 4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6% 감소

 신발(1.0%) 지출은 증가했으나 직물 및 외의(-3.3%) 지출은 감소

4) 주거수도광열()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32 7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2.6% 증가

월세 등 실제주거비(18.4%), 주택유지 및 수선(45.6%), 연료비(6.9%) 지출 증가

5)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은 12 8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6.8% 증가

가전 및 가정용기기(8.2%), 가사소모품(8.3%) 등 지출 증가

6) 보건()

 보건 지출은 24 9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7.9% 증가

입원서비스(22.4%), 외래의료서비스(6.7%), 치과서비스(6.5%) 등 지출 증가

7) 교통()

 교통 지출은 31 2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3% 감소

운송기구유지 및 수리(10.7%), 육상운송(8.5%) 등에서 지출은 증가했으나 자동차구입(-24.8%) 지출은 감소

8) 통신()

 통신 지출은 12 5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3.6% 감소

통신장비(-15.4%), 통신서비스(-0.1%) 지출 모두 감소

9) 오락문화()

 오락문화 지출은 22 6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6.9% 증가

국내·외 여행 등 단체여행비(26.5%), 운동 및 오락서비스(8.8%) 지출 증가

10) 교육()

 교육 지출은 25 3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3% 감소

 입시학원 등 학원보습교육(1.8%) 출은 증가했으나 고등교육비 등 정규교육(-8.8%) 지출은 감소

11) 음식숙박()

 음식숙박 지출은 46 8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5.6% 증가

외식 등 식사비(5.1%), 숙박비(14.9%) 지출 모두 증가

12) 기타상품서비스()

 기타상품서비스 지출은 23 2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9.0% 증가

혼례 및 장제례비 등 기타서비스(28.5%), 보험(6.9%), 이미용서비스(13.1%), 위생 및 이미용용품(6.5%) 지출 증가

4. 비소비지출 동향

 2024 3/4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106 8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0.5% 증가

경상조세(5.9%), 비영리단체로 이전(11.0%), 연금기여금(2.4%) 지출은 증가했으나, 이자비용(-9.9%), 가구간이전지출(-2.1%)은 감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