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4년 11월 28일에 발표한 통계청의 보도자료 중 [2024년 3/4분기 가계동향조사 결과]를 실었습니다.
*2024년 3/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5만5천원으로 나왔습니다. 가구당이므로 가구원이 2명이라고 하면 절반이겠지요?
*근로소득은 아무래도 최저임금이 올라 작년 대비 3.3% 정도 오른 것 같고, 이전소득이 7.7%로 많이 올랐네요. 사업소득은 0.3% 오른 것으로 나왔습니다.
*소득이 제일 낮은 20%인 1분위를 보니 월 소득이 118만2천원이고 가구주 연령은 61.7세로 노년층으로 나타나는군요.
*2분위는 282만3천원 3분위는 436만2천원 4분위는 636만원 마지막 5분위는 1,154만3천원으로 나왔습니다. 1분위와 5분위는 약 10배 차이가 나는군요.
*여러분의 소득 분위는 어떻게 되시나요?
**참고: 소득 5분위란 - 국민의 소득을 5구간으로 나누어서 분류한 계층별 분류. 5분위는 최상위 20%, 4분위는 소득 상위 60~80%, 3분위는소득 상위 40~60%, 1분위는 하위 20%를 나타냅니다.
1. 소득 동향
□ 2024년 3/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525만 5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4% 증가(실질소득 2.3% 증가)
○ 경상소득은 515만 4천원으로 3.7% 증가
- 근로소득은 332만 9천원(3.3%), 사업소득은 98만 7천원(0.3%), 이전소득은 78만 4천원(7.7%)으로 모두 증가
* 공적이전소득 6.0%, 사적이전소득 11.3% 증가
○ 비경상소득*은 10만 2천원으로 63.9% 증가
* 경조소득, 보험금 수령액 등 비경상적 수입
2. 소득 5분위별 가계 소득과 지출
□ 2024년 3/4분기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8만 2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5.4% 증가,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54만 3천원으로 6.5% 증가
○ 1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96만 2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6.1% 증가
- 평균소비성향은 134.7%로 전년동분기대비 1.6%p 하락
○ 5분위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은 898만 1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8.0% 증가
- 평균소비성향은 56.2%로 전년동분기대비 3.0%p 하락
<표 5> 소득 5분위별 가계소득(2024. 3/4) (단위: 천원, %, 전년동분기대비) | ||||||||||
1분위 | 2분위 | 3분위 | 4분위 | 5분위 | ||||||
증감(률) | 증감(률) | 증감(률) | 증감(률) | 증감(률) | ||||||
가 구 원 수 (명) | 1.37 | - | 1.64 | - | 2.22 | - | 2.80 | - | 3.20 | - |
가 구 주 연 령 (세) | 61.7 | - | 53.1 | - | 50.6 | - | 49.3 | - | 50.5 | - |
소 득 | 1,182 | 5.4 | 2,823 | 3.5 | 4,362 | 3.4 | 6,360 | 1.8 | 11,543 | 6.5 |
□ 2024년 3/4분기 소득 1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129만 6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8% 증가, 소득 5분위 가구의 월평균 소비지출은 504만 5천원으로 2.5% 증가
○ 1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은 식료품·비주류음료(22.6%), 주거·수도·광열(18.1%), 음식·숙박(13.4%) 순이고,
○ 5분위 가구의 소비지출 비중은 음식‧숙박(16.2%), 식료품·비주류음료(12.4%), 교육(11.9%) 순임
3. 소비지출 동향
□ 2024년 3/4분기 가구당 월평균 소비지출은 290만 7천원으로 전년 동분기대비 3.5% 증가(실질소비지출 1.4% 증가)
○ 주거·수도·광열(12.6%), 음식‧숙박(5.6%), 기타상품·서비스(9.0%), 보건(7.9%), 오락‧문화(6.9%) 등에서 지출 증가
○ 교통(-4.3%), 통신(-3.6%), 교육(-1.3%), 의류‧신발(-1.6%) 등에서 지출 감소
< 소비지출 12대 비목별 동향 >
1) 식료품․비주류음료(↑)
□ 식료품‧비주류음료 지출은 43만 4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0.6% 증가
○육류(-4.5%), 조미식품(-9.8%), 신선수산동물(-8.3%) 등에서 지출은 감소했으나, 유제품 및 알(6.4%), 쥬스 및 기타음료(10.6%), 기타식품(5.8%) 등에서 지출 증가
2) 주류․담배(↓)
□ 주류‧담배 지출은 4만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2.9% 감소
○ 주류(-2.6%), 담배(-3.2%) 지출 모두 감소
3) 의류․신발(↓)
□ 의류‧신발 지출은 11만 4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6% 감소
○ 신발(1.0%) 지출은 증가했으나 직물 및 외의(-3.3%) 지출은 감소
4) 주거․수도․광열(↑)
□ 주거‧수도‧광열 지출은 32만 7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2.6% 증가
○월세 등 실제주거비(18.4%), 주택유지 및 수선(45.6%), 연료비(6.9%) 지출 증가
5) 가정용품․가사서비스(↑)
□ 가정용품‧가사서비스 지출은 12만 8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6.8% 증가
○가전 및 가정용기기(8.2%), 가사소모품(8.3%) 등 지출 증가
6) 보건(↑)
□ 보건 지출은 24만 9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7.9% 증가
○입원서비스(22.4%), 외래의료서비스(6.7%), 치과서비스(6.5%) 등 지출 증가
7) 교통(↓)
□ 교통 지출은 31만 2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4.3% 감소
○운송기구유지 및 수리(10.7%), 육상운송(8.5%) 등에서 지출은 증가했으나 자동차구입(-24.8%) 지출은 감소
8) 통신(↓)
□ 통신 지출은 12만 5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3.6% 감소
○통신장비(-15.4%), 통신서비스(-0.1%) 지출 모두 감소
9) 오락․문화(↑)
□ 오락‧문화 지출은 22만 6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6.9% 증가
○국내·외 여행 등 단체여행비(26.5%), 운동 및 오락서비스(8.8%) 지출 증가
10) 교육(↓)
□ 교육 지출은 25만 3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1.3% 감소
○ 입시학원 등 학원‧보습교육(1.8%) 지출은 증가했으나 고등교육비 등 정규교육(-8.8%) 지출은 감소
11) 음식․숙박(↑)
□ 음식‧숙박 지출은 46만 8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5.6% 증가
○외식 등 식사비(5.1%), 숙박비(14.9%) 지출 모두 증가
12) 기타상품․서비스(↑)
□ 기타상품‧서비스 지출은 23만 2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9.0% 증가
○혼례 및 장제례비 등 기타서비스(28.5%), 보험(6.9%), 이미용서비스(13.1%), 위생 및 이미용용품(6.5%) 지출 증가
4. 비소비지출 동향
□ 2024년 3/4분기 가구당 월평균 비소비지출은 106만 8천원으로 전년동분기대비 0.5% 증가
○경상조세(5.9%), 비영리단체로 이전(11.0%), 연금기여금(2.4%) 지출은 증가했으나, 이자비용(-9.9%), 가구간이전지출(-2.1%)은 감소
'은퇴 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 기대수명 일본과 거의 비슷... 2024년 남자 81.3, 여자 87.3 (1) | 2024.12.01 |
---|---|
세대 간의 돈의 흐름을 파악하는 국민이전계정 (7) | 2024.11.29 |
혼자 사는 고령자(65세 이상)의 생활과 의식 통계 (28) | 2024.11.28 |
부모 부양에 대한 사회조사 - 여러분의 견해는? (0) | 2024.11.28 |
우리나라 인구는 얼마나 자연 감소하고 있는가? (1) | 2024.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