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이 2024년 11월 24일 배포한 [2024년 사회조사 결과]를 통해 여러 가지 견해를 살펴보고자 합니다.
부모님의 노후는 ‘부모님 스스로 해결’ 해야 한다는 생각은 16.4%로 2년 전보다 3.8%p 증가하였습니다.
부모세대는 노후에 생활비를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를 다시 한 번 생각해 보는 통계입니다.
1.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
□ 부모님의 노후는 가족·정부·사회가 함께 돌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60.3%로 가장 많고, 다음은 가족(18.2%), 부모님 스스로 해결(16.4%) 순으로 나왔습니다.
◦ 노후를 부모님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는 생각은 2년 전보다 3.8%p 증가하였으나, 다른 견해는 모두 감소하였습니다.
◦ 부모님의 노후를 가족·정부·사회가 함께 돌보아야 한다는 견해가 2016년 45.5%에서 2020년부터 60%를 넘어서고 있습니다.
◦ 부모님의 노후를 가족이 돌보아야 한다는 견해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습니다.
* (’14) 31.7% → (’16) 30.8% → (’18) 26.7% → (’20) 22.0% → (’22) 19.7% → (’24) 18.2%
◦ 가족·정부·사회가 부모님의 노후를 함께 돌보아야 한다는 응답이 모든 소득계층에서 가장 높았으나, 가구 월평균 소득이 높을수록 그 응답 비중이 더 큰 경향이 있습니다.
< 부모 부양에 대한 견해 > (단위: %)
계 | 가족, 정부, 사회가 함께 |
가족 | 부모 스스로 해결 | 정부, 사회 |
기타 | ||
2022년 | 100.0 | 62.1 | 19.7 | 12.6 | 5.5 | 0.0 | |
2024년 | 100.0 | 60.3 | 18.2 | 16.4 | 5.0 | 0.0 | |
남자 | 100.0 | 58.9 | 20.0 | 16.4 | 4.7 | - | |
여자 | 100.0 | 61.7 | 16.5 | 16.4 | 5.3 | 0.0 |
2. 가족 관계 만족도
□ 가족 중 자녀와의 관계 만족도가 78.1%로 가장 높고, 다음으로 배우자와의 관계(75.6%), 부모와의 관계(70.5%),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59.8%)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가족 중 남자는 배우자와의 관계 및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가, 여자는 자녀와의 관계 및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배우자와의 관계 만족도는 남자가 80.5%로 여자보다 9.8%p 더 높으며, 배우자 부모와의 관계 만족도도 남자가 여자보다 10.8%p 더 높습니다.
□ 부모의 자녀에 대한 만족도는 78.1%, 자녀의 부모에 대한 만족도는 70.5%로 부모의 자녀에 대한 만족도가 더 높습니다.
청소년 고민
□ 청소년이 가장 고민하는 문제는 공부(32.7%)이며, 다음으로 직업(26.1%) , 외모(12.0%) 순으로 나타납니다.
◦ 13~18세 청소년은 공부(48.8%)와 외모(16.0%)에 대해, 19~24세 청소년은 직업(41.6%)과 공부(19.2%)에 대해 고민을 가장 많이 합니다.
□ 청소년이 고민을 상담하는 대상은 친구․동료가 40.7%로 가장 많고, 다음은 부모(34.2%), 스스로 해결(17.1%), 형제자매(4.3%)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 여자는 어머니, 형제자매, 친구․동료와 상담하는 비중이 남자보다 높고, 남자는 아버지, 스승, 선후배, 인터넷, 스스로 해결하는 비중이 여자보다 높게 나왔습니다.
****참고자료 통계청 보도자료 [2024년 사회조사 결과]를 참조하였습니다.
'은퇴 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득이 제일 낮은 1분위 월 소득 118만2천 원, 가구주 연령은 61.7세로 나타나 (3) | 2024.11.29 |
---|---|
혼자 사는 고령자(65세 이상)의 생활과 의식 통계 (28) | 2024.11.28 |
우리나라 인구는 얼마나 자연 감소하고 있는가? (1) | 2024.11.28 |
은퇴 연령을 75세로 상향 - 여러분의 생각은 (0) | 2024.11.27 |
"노인"이라고 인식되는 나이는? (5) | 2024.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