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직장 생활하면서 가장 큰 고민거리는 은퇴 후의 삶이 아닐까요?
누구나 직장생활 하면서 노후에 걱정 없이 살 수 있다면 이왕이면 빨리 퇴직하고 은퇴하고 싶은 꿈을 꾸리라 생각됩니다.
그러나 은퇴후의 삶이 걱정되기에 직장생활을 [가늘고 길게] 하는 것이 최대의 목표가 되어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겠죠?
그러면 통계청의 "2025년 4월 경제활동인구 고령층 부가조사"를 통해 55세 이후 노령층의 퇴직등에 대해 알아보면 좋겠죠?
1. 노령층의 평균 근속기간 입니다.
1) 55세 ~ 79세 : 취업 경험자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기간
- 평균 근속기간은 17년 6.1개월로 전년동월대비 2.1개월 증가하였다.
- - 남자 21년 4.9개월, 여자 13년 8.9개월이며, 전년동월대비 남자는 1.8개월, 여자는 2.6개월 증가함
2) 55세 ~64세 : 취업 경험자의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의 평균 근속기간
- 평균 근속기간은 15년 10.2개월로 전년동월대비 2.3개월 증가함
- - 남자 19년 3.2개월, 여자 12년 4.9개월로 전년동월대비 남자는 1.7개월, 여자는 2.9개월 증가함
* 젊을수록 평균근속연수가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옛날과는 달리 평생직장의 개념이 없어지기도 하고,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하지 않고 자주 옮기기도 하기 때문이리라.
표 1.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 근속기간>
2023. 5 | 2024. 5 | ||||
증감 | |||||
고령층 | 계1) | 17년 4.0개월 | 17년 6.1개월 | 2.1개월 | |
남자 | 21년 3.1개월 | 21년 4.9개월 | 1.8개월 | ||
여자 | 13년 6.3개월 | 13년 8.9개월 | 2.6개월 | ||
55~64세 | 계1) | 15년 7.9개월 | 15년 10.2개월 | 2.3개월 | |
남자 | 19년 1.5개월 | 19년 3.2개월 | 1.7개월 | ||
여자 | 12년 2.0개월 | 12년 4.9개월 | 2.9개월 |
1) 연령별 인구 중 현재 취업자(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현재도 다니는 경우 포함)와 취업경험 있는 현재 미취업자
2. 55세~64세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퇴사 연령 조사
- 취업 경험자 중, 연령대 비중은 50대에 그만둔 경우가 48.7%로 가장 높으며, 40대 20.4%, 60~64세 14.9% 순으로 나타남
- - 성별로 보면, 남자는 50대(50.1%), 40대(22.0%), 60~64세(18.3%) 순이며,
- - 여자는 50대(47.5%), 40대(19.0%), 30세 미만(12.0%) 순임
* 남녀 모두 50대에서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두었다. 특이한 점은 남자는 60~64세에서도 18.3%정도가 일을 했다.
3. 55세~64세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 퇴사이유 조사
- 퇴사 이유는 사업부진, 조업중단, 휴‧폐업(29.1%)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 특별한 점은 남자는 정년퇴직(14.7%) 및 권고사직, 명예퇴직, 정리해고(17.1%) 등에서 여자보다 높고,
- 여자는 가족 돌봄(28.2%)등이 남자보다 높음
* 남성들의 가장 큰 이유는 회사존폐 문제 33.8%고, 그 다음이 퇴직등 17.1% 이네요. 그러고 건강문제도 15.3%나 되네요.
* 여성들의 가장 큰 이유는 가족돌봄이 28..2%, 그 뒤를 회사존폐 25.1%네요. 그리고 건강문제가 22.4%나 되네요.
* 건강을 지키는데도 노력해야 하겠습니다.
참고자료 : 통계청 보도자료 -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
반응형
'은퇴 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5세 이후 고령층 경제활동에 대하여 (2) | 2024.11.23 |
---|---|
65세 이후 고령층의 연금 수령에 대하여 (2) | 2024.11.22 |
은퇴 후 행복한 부부로 지내는 법 (7) | 2024.11.21 |
우리나라 고령 인구 등 각종 지표 (1) | 2024.11.20 |
은퇴 후 최고의 효녀, 퇴직연금제도 (4) | 2024.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