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하브루타에 대하여

하브루타 들여다보기

by 권씨아제 2025. 1. 8.
반응형

하브루타란

유대인이 세계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0.2%에 불과하나 노벨상 수상자의 30%를 차지한다. 유대인은 모두 한 곳만 바라보고 같은 곳으로 가면 망한다고 생각하여 백 명의 길이 모두 달라야 한다고 믿는다. 그래서 경쟁할 필요 없이 모두 협업하며 상대방의 의견을 온전히 수용하고 존중하는 문화를 가지고 있다.

유대인들의 교육방법인 하브루타를 들여다보자. 하브루타란 '짝', '파트너'를 의미하는 아람어이다. 하브루타의 형태적 의미는 '짝을 지어 질문하고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 것으로서 짝과 하나의 학습 단위가 되는 공부 방법이다.

하브루타에서 상대방과의 상호작용 이전에 텍스트에 대한 철저한 공부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짝과의 상호작용 중에도 끊임없이 텍스트에 대한 재해석이 이루어져야 깊이 있는 하브루타가 가능해진다.

하브루타 텍스트 학습 2단계 과정

  • 1단계 : 텍스트를 이해하는 단계 - 파트너와 함께 텍스트를 해석하는 단계로 학생들 사이에 정보와 아이디어의 교환이 활발히 일어난다. 파트너와 읽기, 상호작용, 그리고 자아 성찰적 해석 연습을 통해 '텍스트에 말을 거는' 시도를 한다. 텍스트에 관한 내용 이해를 위해 정보 교환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 2단계 : 이해한 의미에 대해 반응하는 단계 - 학습자는 여러 가지의 대화 연습을 통해 '자기 이해'라는 목표를 달성한다. '자기 이해'는 학습자가 대화를 통해 자신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 학습자들은 이 두 단계를 계속 왔다 갔다 하는 것을 반복하면서 학습을 완성해 간다. 교사의 역할은 학생들이 이러한 사실에 대해 스스로 인식하고, 의식적인 연습을 통해 본인이 스스로 말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하브루타의 교수학습 방법 6가지 원리(오릿 켄트)

  1. 경청하기 -  짝의 말을 집중해서 듣는 것이다. 자신이 동의하지 않는 생각에 대해서도 경청한다.
  2. 재확인하기 - 자신의 생각을 명료화하여 표현하는 피드백이다. 이때 서로 소통하며 창의적이며 다양한 의견을 낼 수 있다.
  3. 반문하기 - 물음에 대답하지 않고 되받아 묻거나, 상대의 주장이나 의견에 대하여 동의하지 않는 부분에 이의를 제기하며 질문하는 것이다.
  4. 집중하기 - 경청하여 주의를 집중하고 대안들에 대해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대화의 방향이 결정된다.
  5. 지지하기 - 결론이 나지 않는 문제를 지속적으로 생각하도록 격려하는 것이며, 상대에 대해 지지적인 언어, 상대의 생각 위에 생각을 덧붙여 함께 생각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6. 도전하기 - 생각에 대한 도전으로, 상대에게 모순이나 대립되는 내용은 없는지 주의를 기울이게 하는 것이다. 지지하기와 도전하기는 대화의 방향을 조종하고 상대방의 생각들을 더 분명히 하도록 돕는다.

<책 하브루타 수업 디자인에서?

반응형

'하브루타에 대하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브루타에 접근하기  (0) 2025.01.08
하브루타로 수업 하기  (0) 2025.01.08
하브루타의 필요성  (1) 2025.01.08
책 - 하브루타 수업 디자인  (1) 2025.01.08
친구 가르치기 하브루타  (3) 2025.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