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의 7가지 원리

6. 동기부여의 원리

by 권씨아제 2025. 1. 6.
반응형

교육에서 가장 큰 문제는 학습자에게 동기를 부여하지 못하는 것과 행동으로 옮기도록 이끌어주지 못하는 것이다. 가르침은 학습자가 적당한 동기화가 되었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이게 동기부여의 원리이다.

파괴적인 결과를 가져오는 그릇된 동기화가 있다. 잘못된 동기화에 해당하는 한 가지 형태는 '사탕과자 동기화'이다. 사탕과자를 줄 때만 얌전해지는 것이다. 또 하나의 잘못된 동기화는 죄책감이다. 이 성경구절을 외우지 못한다면 그리스도인이 될 수 없다고 하는 동기화이다. 또 다른 그릇된 동기화는 고의적이든 아니든 속임수에 의한 것이다. 교회에 나오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말하지 말라. 그것은 사람들이 환멸을 느끼는 이유가 될 수 있다.

성도들이 제자도에 깊이 헌신하지 않는 한 가지 이유는 '하나님의 일을 하라'라고 요구하기 때문이다. 주님께서 자기 자신을 위해 행하신 모든 일을 완전히 이해하게 되면, 그 사람은 자신의 모든 것을 그분께 맡기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내적으로 동기화되면 성숙해지기 시작하는 것이다. 교사는 학생들이 자발적인 사람으로 성장하도록 돕기를 원한다. 그렇게 하도록 하는 최선의 방법은 학습자가 자신의 필요를 알게 하는 것이다. 곧 실제로 경험함으로 필요를 알게 하는 것이다. 

청소년들이 듣는 음악을 몹시 비난하는 교회들이 있다. 청소년들에게 그들의 음악을 활용할 기회를 주려고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청소년들이 어떤 사역에서 쓸 노래 가사를 만들기 위해 몇 시간씩 성경을 연구하는 것을 본 적이 있다. 음악뿐 아니라 청소년들이 하고 싶어 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것도 동기부여의 한 방법이다.

중요한 문제는 교사인 당신이 동기부여가 되어 있느냐는 것이다. 왜냐하면 동기부여가 된 사람들이 변화의 촉진자가 되기 때문이다. 만일 당신의 믿음이 십 분의 일만이라도 진실이라면, 당신은 현재보다 열 배는 더 흥분해 있어야 한다. 

<책 삶을 변화시키는 가르침, 하워드 핸드릭스 에서>

반응형

'교육의 7가지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의 교육 투자 전략: 균형 잡힌 미래 설계를 위한 가이드  (2) 2025.04.25
7. 준비의 원리  (1) 2025.01.06
5. 마음의 원리  (1) 2025.01.06
4. 전달의 원리  (0) 2025.01.05
3. 활동의 원리  (0) 2025.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