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니어들은 안정된 경제력을 바탕으로 여유 있는 삶을 살아갑니다. 자신의 삶의 목표를 정하고 자신만의 방식으로 삶을 창의적으로 만들어가며, 사회 활동에 적극적입니다.
예전의 노인들처럼 변화를 싫어하는 보수적인 태도를 갖지 않고,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과 이를 경험해 보려는 의지가 강한 세대입니다. 따라서 어느 정도의 경제력과 호기심과 모험심, 탐구심을 갖고 있는 시니어층이 우리 사회의 정년 후 문화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나가고 있습니다.
시니어들이 만들어가고 있는 트렌드는 우리 사회에 많은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트렌드를 잘 파악하는 것이 정년 후의 새로운 생활 패턴을 만들어나가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1. 젊음을 사려는 트렌드
자신이 실지 나이보다 10~14세가 젊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옆에서 늙어 보인다거나 기미가 심하다고 한다면 이를 무던하게 견딜 수 있는 시니어는 많지 않을 것입니다. 당장에라도 미용 피부과로 달려갑니다. 먹고사는데 급급하지 않은 시니어층은 돈으로라도 젊음을 사려고 합니다.
2. 환경 등 사회 활동에 관심
높은 지적 수준과 성향을 감안할 때 환경, 지구온난화 등에 위기의식을 갖고 환경 보전의 당위성에 대한 지지도가 높습니다. 우리 후손, 인류 전체의 삶이 위협받지 않도록 환경보호에 기여하는 활동에 흥미를 느끼고 이를 자랑스럽게 여깁니다. 값이 좀 비싸도 지구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친환경제품을 사용하는 것에 자부심을 느끼고 스스로의 행동에 만족해합니다.
3. 옷차림
새로운 시니어들은 품위와 격식에 맞는 복장을 갖추어 입어야 한다는 의식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한편 젊은 사람처럼 옷을 입어야 젊은 감각을 가진 것으로 보일 수 있고, 세련되게 보인다는 의식을 가진 사람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옷 잘 입는 노인이 멋있는 노인이라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4. 먹거리
과거 생존을 위한 먹거리에서 건강을 지키는 먹거리로 관심이 바뀌고 있습니다. TV방송에서 음식 관련 프로그램이 방영되지 않는 날이 없다는 것은 주 시청자인 시니어 세대들이 건강 먹거리에 관심이 많아 이를 겨냥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5. 특색 있는 여행
기존의 패키지여행보다 사하라 사막 횡단, 크루즈와 같은 특별한 여행을 즐기는 트렌드가 생기고 있습니다. 몸이 아픈 시니어들도 안심하고 여행할 수 있는 보조자 동행 여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여행도 관심을 끌고 있습니다.
6. 주거 및 가족
맞벌이 부부가 일반화되면서 조부모가 손주 양육을 해 주는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아이 10명 중 6-7명이 조부모손에서 자라고 있다고 합니다. 아이 양육 문제로 조부모가 있는 장소 부근으로 부부가 옮겨오는 경우가 많아질 것입니다. 앞으로는 부부 중심의 핵가족에서 3대가 함께 사는 중가족 형태로 바뀌어 나갈 것으로 보는 시각도 있습니다.
7. 재혼
100세 시대에 한 사람의 배우자만으로 살기에는 너무 지겨울 수 있다는 농담도 있을 만큼, 재혼에 대한 인식이 달라지고 있습니다. 황혼이혼이 많아짐에 따라 재혼도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8. 건강
무병장수를 위해건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TV종편에서는 거의 매일 같이 건강에 관련된 프로그램을 방영할 만큼 주 시청자인 시니어들의 관심이 높습니다. 특히 정년 후의 건강 중 치매에 대한 걱정이 가장 많아 치매에 대한 정보 욕구가 더욱 늘어날 것입니다.
9. 요양시설의 현대화
요즘 시니어들은 건강이 나빠지면 자식의 간병이나 보호를 받기보다 요양원이나 요양 시설로 들어가려고 합니다. 경제력이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충분한 간병과 재활 프로그램이 갖추어진 비교적 현대화된 요양 시설에서 지내려고 합니다.
10. 공부 및 자격증
시니어들이 가장 관심을 가진 분야 중 하나가 공부 및 자격증 따기입니다. 공공시설에서 운영하는 각종 강좌의 인기가 더욱 높아질 것입니다. 이런 강좌들은 큰돈 들이지 않고도 필요한 지식이나 기능을 익힐 수 있기 때문입니다. 재취업을 노리고 있는 시니어들은 도움이 될 가능성이 있는 자격증을 취득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11. 웰다잉
웰빙의 마지막 단계가 웰다잉이라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웰다잉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웰다잉 노트 쓰기, 생전에 자신의 장례식 인사말 써두기,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 즉 버킷 리스트 만들기, 죽음 체험, 죽기 전에 자신의 묘지명 만들기, 생전 장례식 등등 다양한 방식들이 있습니다. 앞으로 죽음과 관련된 시장 규모는 점점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책 이명섭의 정년 후의 삶 에서 발췌>
'은퇴 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퇴자들의 자녀관계 5계명 (0) | 2024.12.30 |
---|---|
은퇴부부의 부부싸움 5계명 (0) | 2024.12.30 |
치매 예방 10계명 (2) | 2024.12.30 |
건강 장수를 위한 12가지 건강 수칙 (0) | 2024.12.30 |
은퇴 후에 아내를 휘어잡는 요령 5계 (4) | 2024.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