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살아가는데 알아야 하는 이야기

돈과 친구가 되기 위한 요건을 아는가?

by 권씨아제 2024. 12. 23.
반응형

1. 실생활에서 돈을 다루는  지식을 가져라

돈을 버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라

일을 사랑해서가 아니라 돈 때문에 일하는 사람은 돈을 벌지 못할 뿐만 아니라, 즐거움도 얻지 못한다. 따라서 무슨 일을 하든지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해야 돈을 버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수 있다. 자신이 즐기는 일을 열정적으로 할 때 아이디어와 창의력이 넘쳐나고 높은 생산성이 유지된다.

순현금흐름을 확보하라

순현금 흐름은 수입과 지출의 차이다. 순현금을 확보하려면 수입을 늘리거나, 지출을 줄여야 한다. 수입은 조정하는 데 시간이 걸리므로 지출을 줄이는 것이 더 용이하다. 순현금흐름을 확보되어야 돈이 모인다. 부자일수록 충동구매나 남에게 보여주기 식의 지출을 절대로 하지 않는다. 그들은 지출관리에 신중하다.

순자산을 키워라

순자산이란 자산에서 부채를 뺀 것이다. 순자산을 키우려면 자산을 늘리거나 부채를 줄여야 한다. 자산을 증식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자산 관리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또 적정한 부채 관리로 신용을 유지해야 한다. 부채는 소득 대비 상환 능력 범위 내에서 차입해야 한다. 신용카드 사용도 부채 관리 대상이다. 돈을 빌려 투자하는 레버리지 투자는 신중하게 해야 한다.

위험을 관리하라. 

투자의 세계는 보이지 않는 위험과 불확실성으로 가득 차 있는 어두운 바다와 같다. 미래에 대한 예측은 대개 과거의 정보에 기초하기 때문에 정확한 것은 아니다. 노벨 경제학상을 받은 저명한 경제학자조차도 금융위기를 사전에 예측하지 못했다. 자신이 감당할 수 있는 위험과 범위 내에서 투자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최고의 자산 관리의 첫걸음이다.

728x90

2. 돈을 잘 다루기 위한 지혜를 가져라

돈과 눈 높이를 맞추라

자신의 몸에 맞는 옷이 있듯이, 돈에 대한 눈높이도 자신의 가치관에 따라 적절하게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돈과 행복의 상관관계가 소멸되는 경계를 파악하면 돈에 대한 눈높이를 어렵지 않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부의 규무가 커지는 것에 비례해 관리 및 유지 비용이 늘어나고 돈 문제로 다툼이 잦아질 수 있다. 무엇인가를 소유한다는 것은 다른 한편으로 무엇인가에 얽매이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돈에 대한 눈높이를 과도하게 높이면 가진 것에  더 많이 구속되게 된다.

돈의 흐름을 정서적으로 이해하라.

경제 내에서 돈은 흑자 경제주체에서 적자 경제주체로, 또 그 역방향으로 끊임없이 순환하게 되어 있다. 돌고 도는 것이 돈이다. 우리가 은행에 예금하면, 은행은 그 돈을 대출이나 투자 자금으로 운용한다. 우리의 돈은 계속해서 돌고 도는 것이다. 이러한 돈의 흐름을 이해하면 지출되는 돈을 무조건 두려워한다거나 통장에서 줄어드는 잔고에 대해 막연히 불안해 하지 않게 된다.

돈에 대해 겸허하고 감사하라.

 산이 높으면 골이 깊듯이, 돈을 잘 벌때일수록 위기를 잘 관리해야 한다. 적정한 수익에서 만족하는 것이 겸허한 마음이다. 돈의 부족함을 탓하기 전에 지금 가지고 있는 돈에 먼저 감사해야 한다. 많은 돈을 가지고 있더라도 감사하지 못하면 늘 불행하다. 돈을 벌어 행복한 것이 아니라, 행복해서 돈을 벌게 되는 것이다. 

풍요로운 부자가 되라

라틴어에서 풍요롭다는 의미는 자유롭게 흐르다는 것이다. 따라서 풍요로운 부자는 돈을 많이 가지고 있는 사람이 아니라, 자유롭게 받아들이고 기꺼이 나누는 사람이다. 인간이 가지고 있는 돈이란 이 세상에 살면서 자신에게 잠시 맡겨진 것이다. 풍요로운 부자는 돈에 대한 소유를 주장하지 않는다. 대신에 자기 쪽으로 흘러 들어오게 하며 들어온 돈을 풍요롭게 나눈다.

3.  돈을 윤리적으로 다루라!

경제사상사를 보면 원래 경제학의 뿌리는 윤리학이다. 자유 시장과 사회 공동체에서 도덕과 덕성이 기본이 되어야 한다. 돈을 벌 때나 쓸 때 거래 상대방과의 신뢰가 존중되어야 하고, 공명정대한 인격적 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윤리는 경제생활의 신뢰를 지켜주는 가장 기본적인 버팀목이다.

책 최승우 저 다운시프트 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