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은퇴 관련 이야기

은퇴 준비를 위해 고려해야 할 7가지

by 권씨아제 2024. 11. 13.
반응형

-은퇴 준비는 은퇴가 임박해서 갑자기 하는 것보다는 

가급적 오랜 시간을 두고 미리 준비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은퇴준비는 20~30대부터 해두면 최상일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전통적으로 50대와 60대 사이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직장 퇴직과 함께 은퇴를 경험하거나 예정되어 있다.

-따라서 40~50대부터는 은퇴를 준비하면 좋을 것이다.

 

40~50대 -은퇴에 앞서 고려해야 할 7가지

1)  연로한 부모의 생존

-부모님의 건강상태, 긴급상황에 대한 대비, 장기 간병 문제,

상속문제 등을 미리 생각하면서 준비해 보면 좋을 것이다.

 

2)  부모님의 사망

-부모님의 사망했을 때 감정적인 요소와 재무적인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데

미리 재무적인 문제를 준비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3)  자신들의 건강 문제

-아직 치명적이고 큰 질병은 나타나지 않았다 하더라도 오랜 일을 통해 얻게 된

직업적이거나 고질적인 질병을 갖고 있을 가능성도 차츰 높아진다.

-따라서 꾸준한 건강관리로 갑작스런 낭패를 당하지 않도록 대비해야 한다.

 

4)  40~50대도 은퇴연령에 도달한다.

-은퇴를 준비하든 하지 않든 40~50대의 주류들은 은퇴연령에 도달하고 있다.

-노후에 대한 정부의 제도적인 보호를 받을 수 있는 나이에는 아직 미치지 못한 나이다.

 

5)  40~50대들은 다양한 소득원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자기소득, 개인 퇴직 계좌, 자산소득, 연금소득 등을 준비해야 한다.

 

6)  40~50대도 나이를 먹는다.

-40~50대도 자신의 부모처럼 어느 날엔가는 나이를 먹게 될 것이다.

-어떤 스타일의 삶을 희망하고 어디에서 누구와 무엇을 하며 지낼 것인지에 대해

미리 대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7) 40~50대들도 사망에 대비해야 한다.

-누구나 한 번의 죽음을 맞이하게 된다.

-미래의 죽음을 미리 준비하고 유서 쓰기나 입관 체험 등으로 

자신의 인생을 담담하게 정리하는 연습을 해 보는 것이 좋다.

-또 얼마나 오래 살지에 대해서도 검토해 보아야 하는데

가족력이나 자신의 건강상태 등을 고려해서 자신의 기대수명을 예측해 볼 필요가 있다.

 

 

[참고도서] 다시 생각하는 은퇴경제학 - 전기보 지음 -21세기북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