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매년 80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은퇴를 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먹고살기 위해 다시 노동시장으로 돌아간다.
현재 우리나라의 은퇴 평균 나이는 72.3세라고 한다.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가장 늦은 나이까지 일하는 나라 중 하나이다.
1. 현재 60세 이상 연령층의 생활비 충당 방법을 살펴보면
통계청의 60대 이상 연령층의 생활비 충당 방법(2023년 사회조사 결과)
- 1위 - 근로/사업 수독 43.9% - 일을 해서 돈을 벌어 생활비를 충당한다는 것이다.
- 2위 - 연금/퇴직 급여 22% - 연금으로 생활한다는 것이다.
- 3위 - 재산 소득 6.2% - 임대 소득이나 배당금으로 산다는 의미이다.
- 4위 - 예금/적금 3.6% 은행에 예치해 둔 돈의 원금과 이자를 받아 생활하다는 뜻이다.
2. 은퇴 후 돈 걱정 없는 사람은?
- 돈걱정 없이 사는 사람 - 재산과 예적금으로 사는 사람은 10% 뿐이다.
- 연금 소득으로 사는 사람 - 연금/퇴직 급여로 사는 사람 22%이다.
- 계속 돈을 벌어야 하는 사람 - 일을 해야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는 사람은 약 44%나 된다.
- 나머지 외부의 도움을 받아야만 살 수 있는 사람은 24%나 된다.
- 이 분포가 현재 우리나라 60세 이상이 살아가는 진짜 모습이다.
3. 계층 사다리
60세 이상을 100명이라고 한다면
- 10명은 돈에서 자유롭고,
- 22명은 연금으로 살고,
- 44명은 계속해서 돈을 벌어야 하고,
- 나머지 24명은 가족이나 국가의 돌봄을 받아야 한다.
60세 이상의 약 68%는 노후 위험에 처해 있다고 보아야 한다.
안전지대에 머무는 이들은 32%에 불과하다는 말이다.
4. 과연 국민연금(노령연금)은 어떤가?
많은 사람들이 연금이 있지 않느냐고 반문할 지 모른다.
- 연금을 받는 고령자는 48% 수준이다.
- 노인 100명 중 52명은 연금을 한 푼도 받지 못한다는 이야기다.
- 연금을 수령하는 이의 소득 대체율도 42..5%(2023년기준)에 불과하다.
- 국민연금을 납부했던 기간의 월평균 소득이 350만원이라면 147만 원을 받게 된다.
5. 국민연금 급여 지급 통계
2024년 7월 현재 (노령연금, 유족연금, 장애연금)
- 국민연금 수급자 수 : 6,830,838명
- 지급액 : 3조 5,510억 원
- 1인당 월 지급액 평균은 595,520원이다.
1인당 월 지급액 평균을 지역별로 살펴보면
- 1위 울산광역시 790,807원
- 2위 세종시 639,903원
- 3위 서울특별시 634,616원
- 4위 경기도 624,191원
- 5위 인천광역시 604,055원
- 나머지 시 도는 50만원 대이다.
반응형
'은퇴 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퇴 후 65세부터 받게 되는 기초연금 (6) | 2024.11.19 |
---|---|
은퇴 후 최고의 효자, 국민연금 늘리는 법 (0) | 2024.11.19 |
은퇴 후의 여유롭게 살기 - 은퇴 재정 계획 (14) | 2024.11.18 |
어떤 유형의 은퇴자가 될 것인가? (32) | 2024.11.17 |
빠를수록 좋은 은퇴 계획 세우기 (15) | 2024.1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