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은퇴하고 연금만으로 살기 팍팍한 요즘 은퇴를 앞 둔 분들은 아파트 전기과장을 생각하여 전기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 왜냐하면 아파트 전기과장으로 취업하는 데 선임조건은 까다로운 편이 아닐 뿐더러, 70세가 넘으셔도 건강만 허락한다면 계속해서 일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나이가 있어도 얼마든지 취업이 가능합니다.
- 일반적으로 아파트 전기설비용량에 따라 국가기술자격인 전기기사와 전기산업기사의 자격을 필요료 합니다. 자격증과 실무경력만 갖추면 얼마든지 취업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아파트 전기과장 업무가 많지 않아 아주 여유롭게 일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전기기능사도 아파트의 취업이 가능한데 이는 전기설비용량이 큰 아파트의 경우에 전기안전관리 보조인력으로 채용될 수 있습니다. (아래 표 참조) 그리고 경력이 쌓이면 산업기사(1년이상), 전기기사(3년이상) 시험도 응시할 수 있습니다.
아파트 전기과장이란?
아파트 단지 내 전기시설관리 및 단지 내에서 발생하는 전기관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중간관리자 역할을 수행합니다. 대개 아파트도 고압전기를 수전받아 저압전기로 바꾸어 각 세대로 분배하고 있는데 이 고압전기실을 책임지고 관리를 하며 단지 내의 전기관련시설을 관리합니다. 또한 아파트에 따라 전기 뿐만 아니라 설비 등의 업무 등도 협력하여 진행하기도 합니다.
1)전기설비의 점검, 유지, 시험작동, 관리
2)전기안전관리 담당
3)아파트 상황에 따라 설비 등도 담당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은?
- 국가기술자격증임으로 응시자격이 까다로운 편에 속합니다.
전기산업기사 응시자격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
|
|
|
경력 2년
|
(학점은행제 - 학점은행제를 통해 관련학과 41학점 이수하면 응시 가능 )
전기가사 응시자격
기술자격 소지자
|
관련학과 전공자
|
순수 경력자
|
|
|
경력 4년
|
- 대학을 안 나와도 학점은행제 관련학과 106학점 이수하면 응시 가능
(대졸자는 학점은행제를 통해 산업기사는 관련학과 41학점, 기사는 관련학과 48학점을 채우면 가능)
전기기능사 응시자격
전기기능사는 다른 자격증이나 학력, 경력 등이 없는 비전공자도 자격증을 취득할 수 있습니다.
자격증 취득 후 1년 경력을 쌓으면 전기산업기사 시험 응시 자격이 주어집니다.
자격증 취득 후 3년 경력을 쌓으면 전기기사 시험도 응시 가능합니다.
취업관련
아파트와 관련된 전기안전관리자의 선임기준과 세부 기술자격을 알아보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 전기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 8] <개정 2022. 4. 22.>
전기안전관리자의 선임기준 및 세부기술자격(제25조제2항 및 제30조 관련)
구분 | 안전관리 대상 | 안전관리자 자격기준 | 안전관리보조원 인력 |
3. 전기수용설비 및 비상용 예비발전 설비 |
(1) 모든 전기설비의 공사ㆍ유지 및 운용 | (1) 전기ㆍ안전관리(전기 안전) 분야 기술사 자격소지자, 전기기사 또는 전기기능장 자격 취득 이후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사람 | (1) 용량 1만킬로와트 이상은 전기 분야 2명 (2) 용량 5천킬로와트 이상 1만 킬로와트 미만은 전기 분야 1명 ( 안전관리보조원의 자격은 해당 분야 기능사 이상의 자격소지자이거나 같은 분야 5년 이상 실무 경력자를 말한다.) |
(2) 전압 10만볼트 미만 전기설비의 공사ㆍ유지 및 운용 | (2) 전기산업기사 자격 취득 이후 실무경력 4년 이상인 사람 | ||
(3) 전압 10만볼트 미만으로서 전기설비용량 2천킬로와트 미만 전기설비의 공사ㆍ유지 및 운용 | (3) 전기기사 또는 전기기능장 자격 취득 이후 실무경력 1년 이상인 사람 또는 전기산업기사 자격취득 이후 실무경력 2년 이상인 사람 |
||
(4) 전압 10만볼트 미만으로서 전기설비용량 1,500킬로와트 미만 전기설비의 공사ㆍ유지 및 운용 | (4) 전기산업기사 이상 자격소지자 |
반응형
'은퇴 관련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은퇴 후, 성공적인 이직을 위한 5가지 전략 (1) | 2024.12.12 |
---|---|
은퇴할 때 후회 하는 말 (4) | 2024.12.10 |
은퇴 전과 후가 달라지는 점은? (6) | 2024.12.04 |
은퇴 후 부부 생활이 행복해야 하는 이유? (0) | 2024.12.04 |
'은퇴 남편 증후군'이라고 아시나요? (1) | 2024.1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