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아가는데 알아야 하는 이야기
📌 침례와 세례의 차이 및 역사적 기원
권씨아제
2025. 5. 3. 13:52
반응형
1. 용어와 개념의 차이
구분침례(浸禮, Immersion)세례(洗禮, Aspersion or Pouring)
행위 방식 | 전신을 물에 담그는 방식 | 머리나 이마에 물을 붓거나 뿌리는 방식 |
상징 의미 |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 장사, 부활에 동참 | 정결함, 죄의 씻음 |
성경적 용어 | 헬라어 Baptizo (담그다), Baptisma (침례) | 동일하게 Baptism이나 번역 시 구분됨 |
사용 배경 | 침례교, 성결교, 일부 순복음 | 장로교, 감리교, 천주교 등 대부분의 교단 |
한국에서는 ‘세례’와 ‘침례’를 구분하지만, 원어 헬라어와 영어에서는 모두 Baptism이라는 한 단어로 표현됩니다.
2. 세례/침례 용어 선택의 배경 (한국적 맥락)
- 성경 번역 초기, 불교 용어인 **‘세례(洗禮)’**가 채택됨.
- 침례교는 ‘씻는다’는 의미보다 ‘물에 잠긴다’는 성경적 의미에 더 가까운 ‘침례(浸禮)’ 사용을 고수함.
- 침례교회 성도들은 개역성경에서 ‘세례’가 나올 때도 이를 ‘침례’로 읽음.
3. 성경 속 침례 방식
- 요한복음 3:23 — “거기 물이 많음이라”
- 마태복음 3:16 — “예수께서 침례를 받으시고 곧 물에서 올라오실새”
- 사도행전 8:38~39 — “둘 다 물에 내려가… 둘이 물에서 올라올새”
- 로마서 6:4 — “그와 함께 장사되었나니…”
👉 이 모든 본문은 **침수(전신 침례)**의 의미와 물리적 행동을 보여줍니다. 물속에 들어가 장사하고, 다시 나오는 것이 부활을 상징함.
728x90
4. 역사적 변화
✅ 천주교의 관수례 도입
- 754년: 병든 유아를 위한 관수례 허용 (교황 스데반 3세)
- 1311년: 라벤나 공의회에서 관수례를 공식화, 침례는 이단 규정
✅ 개신교의 방식 변화
- 칼빈: “형식은 중요하지 않다” → 관수례 수용
- 1664년 웨스트민스터 회의: 침례 vs 세례 표결 → 사회자 판정으로 ‘세례’ 채택
- 이후 대부분 개신교 교단이 관수례 시행
✅ 국내 교단별 방식
교단방식
장로교 | 물을 붓거나 뿌리는 방식 (관수례) |
감리교 | 물을 뿌리는 세례 |
성결교 | 전신 침례가 원칙, 필요시 약식 세례 가능 |
순복음교 | 침례와 관수례 병행 |
침례교 | 전신 침례만 인정 |
5. 재세례 vs 재침례 (Rebaptism)
- 영어권에서는 Rebaptism 하나의 단어만 사용.
- 한국에서는 세례 받은 사람이 전신 침례를 다시 받을 경우,
- 일반 교단은 재세례라 하고,
- 침례교는 재침례라 표현.
- 침례교 입장: 관수례는 성경적 침례로 간주되지 않기에 ‘재침례’가 아니라 ‘진정한 첫 침례’라고 이해함.
✅ 결론: 침례가 갖는 성경적 의미
- 단순한 의례를 넘어서 죽음 → 장사 → 부활이라는 복음의 핵심을 담은 상징.
- 예수님의 모범과 초대교회의 실천에 가장 충실한 방식은 전신 침례.
- 실용적 이유로 변형된 관수례는 의미 전달력에서 제한이 있다는 비판적 시각이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