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브루타 질문이 살아있는 수업을 위한 10가지 원칙
1. 구체적인 질문을 해라. (추상적, 포괄적 질문은 NO)
- "좋은 시란 무엇인가?"라고 질문하면 대답하기 힘들 것이다. '네가 알고 있는 시 중 인상 깊었던 시나 좋았던 시는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라고 구체적으로 질문한다면 쉽게 답변할 수 있을 것이다.
2. 질문은 쌍방향으로 이루어지게 하라.
- 교사가 질문도 하지만, 학생들에게 질문할 수 있는 기회와 시간을 주는 것이 필요하다. 특히 하브루타 수업에서 과감하게 학생들에게 질문할 수 있는 기회와 여유를 주는 것이 수업에서 배움을 촉진하는 데 도움이 된다.
3. 즉문즉답은 피하라.
- 학생의 질문에 즉답을 피하고, 다른 학생에게 의견을 묻거나 그 질문을 반사해서 네 생각은 무엇인지 질문하는 것이 좋다. 그래야 전체 학생들이 좋은 배움의 기회로 삼을 수 있기 때문이다.
4. 특정 학생을 선택하여 질문하라.
- 학생을 특정해 질문해야 해당 학생이 답변할 가능성이 높다.
5. 최소 7초를 기다려라.
- 특정 학생을 선택하여 질문했다면 최소 7초의 시간을 기다려 주어야 한다. 그래야 그 학생은 선생님으로부터 존중받는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6. 절대로 자문자답하지 말라.
- 교사가 질문하고 학생이 대답을 잘하지 않거나 자기가 원하는 답이 나오지 않기에 교사가 먼저 대답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면 학생들은 교사가 질문해도 전혀 답을 하지 않는다.
7. 학생의 오답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지 마라.
- 학생의 엉뚱한 질문이나 오답에 대하여 교사가 부정적이거나 공격적인 반응을 보인다면 거기에서 배움은 멈추고 말 것이다.
8. 질문 후, 그 대답을 경청하고 반응을 보여라.
- 경청의 기본자세는 '눈 맞춤'이다. 교사가 학생에게 질문을 했으면 정성을 다해 경청하고 눈 맞춤을 통해 그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주어야 한다.
9. 구조화된 질문을 사용하라.
- 수업의 흐름에 따라 적절한 질문을 미리 고민하여 활용하는 것이 좋다. 질문과 질문 사이에는 논리적인 연계성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무엇보다 '출발질 문 - 전개 질문 - 도착 질문'의 3단계 질문 단계를 기억하면 좋다.
10. 맥락과 상황에 맞는 질문을 사용하라.
-학습 단원의 특성, 학생들의 학습 수준, 수업의 맥락과 상황 등을 고려하여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그에 맞는 질문을 개발하여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교사의 좋은 질문 사용 방식은 학생들의 질문을 이끌어 내는 데 효과적이다.
< 하브루타 네 질문은 뭐니, 240-243p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