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퇴 관련 이야기

슈퍼노인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및 해결방안

권씨아제 2024. 12. 20. 16:03
반응형

슈퍼노인증후군(Super Elderly Syndrome)이라고 들어보셨나요? 네이버 시사상식사전에서는 생업에서 은퇴를 한 이후에도 바쁜 일정을 보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증상으로, 은퇴 이전 바쁜 사회생활을 해 왔던 남성 은퇴자들에게서 더 많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말한다.

슈퍼노인증후군은 은퇴 후에도 쉬지를 못하고, 100개쯤 되는 버킷리스트를 만들고 그것을 위해 혼신의 힘을 쏟는 것처럼 열심히 사는 것을 말합니다. 70대 이후의 나이에도 왕성하게 활동하는 사람을, 때로는 그 나이에 히말리야 등의 오지탐험이나 등반에 성공한 사람을, 때로는 전국을 돌면서 한 달에 수십번의 강의를 하는 노인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셨나요? 

1. 슈퍼노인증후군의 실제

배우 임현식이 1000평이 넘는 집을 직접 관리하다 농약을 흡입하는 사고를 당하고, 어머니와 아내의 상중에도 손에서 대본을 놓지 못하는 등 ‘일 중독’을 고백했습니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오은영 박사는 배우 임현식이 은퇴 이후 바쁜 일정을 보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는 ‘슈퍼 노인 증후군’이 의심된다는 진단을 내놨습니다. 오은영은 “선생님처럼 쉬지 못하고 뭔가를 계속해야 하는 분들이 있다”며 “이들은 생업에서 은퇴한 이후에도 계속해서 바쁘게 살아야 할 것 같은 압박감을 느끼고 계속 뭔가를 하는 노년층”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생업에서 은퇴하고 나면 여유로운 생활을 즐기기보다 낙오자라는 생각이 들고, 내 삶이 의미 없는 것 같은 마음이 든다면 생산적인 인간이라는 걸 확인하기 위해서 계속 일한다”고 했습니다.

2. 슈퍼노인증후군의 문제점

  • 건강 악화 - 나이에 비해 무리한 활동으로 건강이 악화되기가 쉽습니다.
  • 정신적 스트레스  - 끊임없는 활동으로 인해 스트레스를 받을 뿐만 아니라, 우울증에 걸릴 수도 있습니다.
  • 대인관계 문제 - 일에 중독되어 있다보면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가 소원해질 수가 있습니다.
  • 삶의 질 저하 - 삶의 여유를 즐기지 못하고 끊임없이 바쁜 삶을 살아가기에 삶의 질이 매우 낮아질 수 있습니다.

3. 슈퍼노인증후군의 해결 방안

나이가 들어서 늙었다는 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 슈퍼노인 증후군을 떨쳐 버려야 합니다. 나이는 숫자에 불과한 것이 아닙니다. 그런 패기아 믿음을 갖는 것으 좋지만 나이가 많다는 것은 늙은 것이며, 그만큼 쇠잔한 것입니다. 그것을 인정해야 합니다. 젊은 날에도 이루지 못한 것을 노후에 어찌 다 이룰 수 있겠는가? 가끔은 젊은이들을 능가하는 슈퍼노인도 있겠지만, 누구나 그렇게 되는 것은 아닙니다.

나이에 맞는 라이프스타일을 찾아야 합니다.

  • 혹자는 슈퍼노인 증후군이 은토 생활의 적이라고 했습니다. 따라서 노후의 삶은 진정한 자아와 인생의 의미, 그리고 가치를 찾는 삶으로 전환해야 합니다. 나이 들면 나이 든 것에 어울리는 삶의 방식을 찾아야 합니다. 그 나이에 맞는 라이프스타일을 만들어 내야 합니다. 그것이 노후다운 삶을 보장하는 길이요, 은퇴 전략의 바탕입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 앞서 봤던 임현식님처럼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자신의 실상을 깨닫도록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그래야 자신의 상태를 알 수 있고 슈퍼노인 증후군에서 빠져나올 수 있습니다.

결론

노후나 은퇴 생활을 다루는 사람들의 충동질에 부화뇌동해서는 안 됩니다. 자신은 자신의 스타일대로 사는 것이 정답입니다. 괜히 과욕을 부렸다가는 노욕이 되고, 결국 수명을 단축할 것입니다. 아니 수명이 단축되고 아니고를 떠나 그게 바람직한 삶의 방식도 아닙니다. 

반응형